반응형 전체 글410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지급일 및 신청방법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은 특수형태 근로종사자(특고)와 프리랜서에게 200만 원의 지원금을 주는 정부지원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 6차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의 지급일과 신청방법, 신청서류 등 자세한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지급일, 지급 시기 1. 지원금은 6월 13일부터 순차 지급합니다. 2. 17일까지 모든 지급을 마무리 한다는 계획입니다. 신규 신청자도 기존에 지원금을 받지 않았다면 20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대상(신청자격) 밑에 소개해 드리는 대상, 신청자격은 6차에서 신규 신청을 할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차~5차까지 지원금을 받은 특고 프리랜서는 별도 소득심사 없이 200.. 정부지원금(국가보조금) 2022. 6. 8. 1 이웃집 백만장자(토머스J.스탠리) 도서 리뷰 이웃집 백만장자는 토머스 J. 스탠리가 펴낸 책입니다. 저자는 줄곧 부자들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그의 연구 논문은 전국 대중매체에서 자주 인용될 정도로 유명합니다. 이번 글에서 이 도서에 대해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돈이 없는 게 문제가 아니다. 비전이 없는 게 문제다. 이 책은 1천 명의 부자들을 추적 조사한 최초의 백만장자 보고서입니다. 그들의 공통점은 소득이 아닌 소비에 있다고 합니다. 백만장자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만장자들의 공통점 소비를 적게하여 나머지를 모두 투자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시간, 돈,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한다. 사회적 지위보다 경제적 독립을 더 중요시한다. 부모의 도움 없이 부를 축적할 수 있으며, 자녀 교육도 똑같이 적용한다. 가족들에게 경제적 자립.. 투자 지식 쌓기 2022. 6. 4. 1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과 신청방법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신청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떤 혜택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신청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불어 공고문을 통해 세부사항을 필수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람. 만 18세 ~ 만34세에 해당하는 사람. 근로 중인 사람. 본인 근로소득금액 일정 금액 이하(세전 월 255만 원 이하). 부양의무자 소득 연1억미만, 재산 9억 미만인자. 이번에는 지원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지원내용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 또는 월 15만 원 중 선택. 지원액: 위의.. 정부지원금(국가보조금) 2022. 6. 4. 0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대상 및 신청 방법 약 62조 규모의 추경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5월 30일 오후부터 최대 1천만 원의 손실보전금을 지급합니다. 이번 글에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의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대상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대상은 코로나 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 371만명이 대상이 됩니다.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대상 작년(2021년) 12월 15이 이전에 개업해 같은 달 31일 기준 영업 중이면서 매출액이 감소한 소상공인, 소기업 연매출 10억원 초과 50억 원 이하인 중기업. 연매출 30억원 초과 50억 원 이하인 식당과 카페, 학원, 실내체육시설(지급대상에 포함.. 정부지원금(국가보조금) 2022. 5. 30. 0 실업급여 지급 조건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생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금이나마 급여를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인 경우. 이때 초단시간근로자는 이직일 이전 24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인 경우입니다. 초단시간근로자란? 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월 소정근로시간 60시간이 되지 않는 근로자 초단시간근로자도 3개월 이상 근로를 했다면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초단시간근로자는 위에도 말씀드렸듯 24개월 간 180일 이상 근무를 해야 합니다. 2.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 정부지원금(국가보조금) 2022. 5. 28. 0 이전 1 2 3 4 ··· 82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