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가계부 쓰는 법 꿀팁 6가지를 알아보려고 해요. 가계부를 쓰는 것이 한 해 목표였던 적이 있죠? 하지만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열심히 써보려고 다짐하지만, 어느새 손에서 놓아버리곤 하죠.

가계부 쓰는 것에는 특별한 요령이 필요합니다. 이 꿀팁 6가지들을 활용해서 목표도 지키고, 현명하게 돈을 모으길 바랍니다.
1. 자신에게 맞는 가계부 고르기
요즘은 다양한 형태의 가계부가 있습니다. 수기부터 모바일 앱, 엑셀까지 선택지가 많죠. 각 형태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본인에게 가장 편하고 익숙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손으로 적어야 기억에 오래 남고 편하다면 수기 가계부가 적합
- 이동하면서도 기록하고 싶고 스마트폰을 자주 본다면 가계부 앱이 적합
- 자신만의 템플릿을 만들어 기록하고 싶다면 엑셀이 적합
2. 첫 장에는 목표 적기
가계부를 이용하는 목적은 돈을 절약하고 불리기 위함입니다. 첫 장에 본인의 목표를 적어보세요. 아주 강력한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안에 천만 원 모으기"가 있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세요. 첫 장에서 목표를 볼 때 마다 조금씩 가까워지는 것을 경험하고 꾸준히 유지하는 원동력이 될 겁니다.
3. 일주일에 한 번 정리하기
가계부를 매일 쓴다고 하면 시작부터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작심삼일 하지 않고 성공을 하려면 일주일에 한 번만 가계부를 정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꼭 매일 기록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주일에 한 번씩 몰아서 기록해도 충분해요. 매주 일요일 저녁 같은 시간을 정해서 한 주 동안 쓴 돈을 한꺼번에 정리해 보세요.
중요한 것은 꾸준히 기록하는 것입니다. 매일 기록하는 것보다 일주일에 한 번 규칙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최대한 간단하게 기록하기
가계부를 쓰다 보면 또 귀찮은 것이 상세한 금액 기록입니다. 너무 세세하게 적으면 금방 지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4,320원 사용, 편의점에서 2,580원 사용 등 너무 세세하게 적으면 지칩니다.
가능한 항목을 간단히 나누어 쓰는 것을 추천해요. 예를 들어 식비 5만 원, 교통비 3만 원 등 큰 항목으로 묶어서 적으면 편리합니다.
너무 디테일한 부분보다는 전체적인 소비 흐름을 보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에요. 이렇게 기록하면 소비 패턴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다음 소비 계획을 세우기에도 유리합니다.
5. 월말 정산하여 소비 습관 분석하기
가계부를 쓰는 시간만큼 중요한 것이 돌아보는 시간인데요. 가계부는 쓴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한 달에 한 번쯤 전체 지출을 정리하고 돌아보는 것이 꼭 필요해요.
월말에 지출 내역을 한눈에 살펴보면서 내가 어디에 돈을 많이 썼는지, 불필요한 지출은 없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이를 통해 나의 소비 습관을 분석하고, 다음 달부터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상보다 식비가 많이 나왔다면 외출을 줄이거나 커피를 줄이거나 개선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6. 지출 많은 항목은 예산 5% 줄이기
계속 쓰다 보면 특정 항목에서 자주 예산을 초과하는 경우가 보일 텐데요. 이럴 때 그 항목의 예산을 조금씩 줄여보세요.
예를 들어, 식비나 문화비가 생각보다 많이 든다면 해당 항목의 예산을 5% 정도 줄여보는 겁니다. 처음부터 큰 폭으로 줄이면 부담이 될 수 있으니 5% 정도로 해보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점차 절약 습관을 들일 수 있고, 그동안의 지출 습관도 서서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작게 시작한 절약 습관이 꾸준히 쌓이면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거예요.
지금까지 가계부 쓰는 법 꿀팁 6가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가계부를 꾸준히 쓰는 데에도 특별한 요령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약정리
- 자신에게 맞는 가계부를 선택한다.
- 첫 장에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적는다.
- 일주일에 한 번만 정리한다.
- 상세하게 적지 말고 최대한 간단하게 기록한다.
- 월말에 정산을 꼭 한다.
- 지출이 많은 항목은 5% 정도로 서서히 줄여본다.
이번 소개한 가계부 쓰는 법 6가지를 참고하여 가계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똑똑한 지출 관리를 시작해 보세요.
목표를 설정하고, 간단하게 기록하며, 돌아보는 습관을 들이면 어느새 가계부가 재미있는 재정 관리 도구로 느껴질 거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