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셀트리온 3인방 종목들이 강세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셀트리온 자사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 치료제의
글로벌 임상 2상 투약을 완료했다.
추후 셀트리온은 임상 2상 중간 결과를 확인한 후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어서
이르면 내년 초 공급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큰 뉴스로 보자면 위와 같은 소식 때문이다.
더 자세히 그 내용을 보자.
셀트리온은 25일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레그단비맙)’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
환자 327명을 모집해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9월 17일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CT-P59의 임상 2·3상 시험을 승인받고,
국내 주요 의료기관을 비롯해 미국, 루마니아, 스페인 등의
국가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해왔다.
임상 2 상의 피험자 모집은 초기 더디게 진행됐으나
이 달 200여 명을 확보하며 당초 목표였던
300명보다 많은 327명이 모였다.
통상 임상 환자의 경우 모집인원의 10% 정도를
추가로 모집하는 경우가 있으며,
셀트리온 역시 안정적인 임상을 위해 환자를 추가로 모집했다.
셀트리온은 이미 식약처의 조건부 허가 승인에
대비해 즉시 의료 현장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난 9월부터 송도 생산시설에서 국내 코로나 19
환자 10만 명가량이 치료받을 수 있는
CT-P59 생산에 돌입해 초기 물량 생산을 완료했다.
또한 글로벌 3상 임상도 개시한다.
3상 임상은 전 세계 10여 개 국가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2상에서 확인된 CT-P59의 효능과 안전성을
보다 광범위한 환자를 통해 추가 검증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전 세계 규제 기관의 신약 허가 규정에 맞는
임상 프로세스를 거쳐 CT-P59 최종 제품 승인 절차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향후 해외 대량 공급을 위해
연간 최대 150만~200만 명분의 치료제 생산 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기존 제품의 재고 상황 및 글로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내년도 연간 생산 세부 계획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3차, 4차 유행으로 까지 계속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19 사태 종식에 기여할 수 있는
국산 항체 치료제의 성공적인 글로벌 임상을 위해
셀트리온 임직원들은 밤낮없이 전 세계 현장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런 직원들의 노력과 현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의료진들의 헌신 덕에 임상 2·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만큼 조속히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빠른 시간 안에 국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치료제 개발 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셀트리온 3인방 중 셀트리온 제약이 큰 급등 중이다.
현재 23% 정도 상승했다.
영입이익은 적자 없이 꾸준히 내고 있다.
하지만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
댓글